몸이 피로해서 한약을 먹어야겠는데 한약을 복용할 때는 밀가루 음식을 먹지 못한다고 고민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마 국수와 빵을 매우 좋아하는가 본데, 과연 한약과 밀가루 음식은 무조건 맞지 않을까요?

 

밀

 

한약 먹을 때 밀가루 음식을 먹지 말라고 하는 이유

밀의 껍질은 찬 성질이지만 알맹이는 따뜻한 성질이어서 밀가루는 열이 있으며 풍기를 동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열이 많은 분들이 밀가루 음식을 먹으면 열이 더욱 오르게 되어 중풍이나 당뇨병 같은 성인병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인병을 치료할 때는 물론이고 예방을 위해서도 주의해서 먹어야 합니다.

 

특히 당뇨병에는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밀가루는 뱃속을 도와서 기운을 더해주고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지만 반면 기를 막는 성질이 있어서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에게는 오히려 부담을 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밀에는 어떤 약효가 있나

'소맥'이라고 하는데 단맛에 성질이 서늘하여 가슴이 화끈거리고 답답하면서 열이 오르거나 갈증이 나는 것을 없애줍니다. 또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간장의 기를 보양해줍니다. 외상으로 출혈이 있거나 탕화상(끓는 물이나 뜨거운 불에 데어서 생긴 상처)을 입었을 때는 밀을 불에 검게 볶아 가루 내어 상처에 붙이면 잘 낫습니다.

 

밀도 한약재로 쓸까

한약으로 쓸 때는 물에 담가 뜨는 것을 건져서 쓰므로 '부소맥'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땀이 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는데, 특히 잠잘 때 식은땀이 나는 '도한'에 좋습니다. 또 부인들의 신경불안, 히스테리 증상을 치료하는 약재로 많이 활용합니다. 부인들이 감정 변화가 심하여 울다가 웃기도 하고, 한숨을 쉬거나 하품, 신음을 자주 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병을 '부인장조증'이라 하는데, 이때 부소맥과 대추, 감초를 함께 달인 '감맥대조탕'을 먹으면 좋습니다.

 

밀가루 음식을 먹고 배탈이 났다면

밀가루와 무가 상반되므로 밀가루 음식을 먹고 체했을 때는 무를 먹으면 좋습니다. 그러니 국수를 먹을 때 무나물을 함께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약재로는 무씨, 즉 나복자를 씁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